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기본소득 지역별 차이 총정리
    청년기본소득 지역별 차이 총정리

    경기도 외 다른 지역 청년기본소득 정책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빠르게 지역별 정책 확인하시려면 아래 버튼을 눌러주세요.

     

     

     

     

    청년기본소득 지역별 차이 총정리

    청년기본소득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지자체는 단연 경기도입니다. 하지만 그 외에도 서울, 인천, 부산 등 다양한 지방자치단체에서 각각의 청년 지원금 또는 기본소득 형태의 정책을 운영 중입니다.

     

    1. 경기도 – 청년기본소득 대표 모델

    • 대상: 만 24세 경기도 거주 청년
    • 조건: 3년 연속 또는 10년 이상 경기도 거주
    • 금액: 분기별 25만 원, 연 100만 원
    • 신청: 잡아바 사이트 이용

     

    2. 서울시 – 청년수당

    • 대상: 만 19~34세 미취업 청년
    • 조건: 소득 기준 충족
    • 금액: 월 50만 원, 최대 6개월
    • 형태: 구직활동 지원금

     

    3. 인천시 – 복지성 청년 지원

    • 기본소득 없음
    • 청년월세, 장려금, 마일리지 등 운영

     

    4. 부산시 – 청년두드림카드

    • 대상: 만 18~34세 미취업 청년
    • 금액: 월 최대 30만 원, 6개월 지원
    • 용도: 자기개발, 교육비 등

     

    5. 기타 지역 정책

    지역 정책명 특징
    대구 사회진입활동지원금 최대 300만 원 지급
    광주 청년월세지원 거주 비용 중심
    전북 지역정착지원금 귀농·귀촌 청년 대상
    충남 청년내일통장 자산 형성 지원

     

    6. 청년기본소득 vs 청년수당

    항목 청년기본소득 청년수당
    대상 요건 거주+연령 소득+취업 상태
    지급 방식 분기별 정액 월별 일정 기간
    용도 제한 지역화폐 비교적 자유

     

    7. 마무리

    청년기본소득은 지자체마다 명칭과 형태가 달라 헷갈리기 쉬운 정책입니다. 경기도는 기본소득 개념을 가장 명확하게 구현하고 있으며, 서울과 기타 지역은 청년수당 또는 활동비 성격이 강합니다.

    👇 지금 아래 버튼에서 지역별 정책 안내를 확인해보세요.

     

     

     

     

    01234567891011121314
    청년기본소득 지역별 차이 총정리
    012345678910111213
    청년기본소득 지역별 차이 총정리